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전기요금 감면대상자 총정리 (기초수급자, 장애인, 다자녀)

by 단꿈행복일상 2025. 8. 7.
반응형

 

 

 

 

전기요금 감면대상자 총정리 (기초수급자, 장애인, 다자녀)

전기요금 부담을 덜 수 있는 복지혜택 중 하나가 바로 전기요금 감면 제도입니다. 한국전력공사(한전)에서는 저소득층, 장애인, 다자녀 가구 등 사회적 배려계층을 대상으로 매월 전기요금을 감면해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어떤 사람들이 대상이며, 얼마나 할인되고,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.

1. 감면대상자 종류 및 조건

전기요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는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기초생활수급자: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
  • 차상위계층: 차상위본인부담경감, 자활, 장애수당 수급 등
  • 장애인: 등록장애인 (1~6급)
  • 국가유공자 및 독립유공자
  • 다자녀 가구: 만 18세 이하 자녀가 3인 이상인 가정
  • 사회복지시설: 노인요양시설, 아동보호기관 등

※ 단, 주거용 전기를 사용하는 가구에 한하여 적용되며, **계약자 명의가 대상자와 동일**해야 합니다.

2. 감면 혜택 내용과 월별 금액

감면 금액은 대상자별로 상이하며, 기본요금 또는 사용요금에서 차감됩니다.

구분 월 할인 금액 비고
기초생활수급자 (생계·의료) 월 최대 16,000원 여름철(7~8월) 20,000원까지 확대
기초생활수급자 (주거·교육) 월 최대 10,000원 여름철 한시적 확대 없음
장애인, 국가유공자 월 8,000~16,000원 중복 감면 불가
다자녀 가구 월 4,000~8,000원 자녀 3명 이상 등록 필요
사회복지시설 사용량의 최대 30% 할인 등록된 시설만 해당
전기요금 감면 대상자 유형 시각 요약 이미지 전기요금 감면 신청 방법 요약 카드 이미지

3. 신청방법 및 유의사항

전기요금 감면은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하며, **방문, 온라인, 전화**를 통해 가능합니다.

    • 온라인 신청: 한전 홈페이지 또는 복지로(www.bokjiro.go.kr)
  • 전화 신청: 한전 고객센터 123 (국번 없이)
  • 방문 신청: 가까운 동 주민센터 또는 한전 지사

신청 시 **신분증, 수급자 증명서, 가족관계증명서** 등 대상자 확인 서류가 필요하며, 신청한 달의 다음 달부터 감면이 적용됩니다. 계약자 명의와 실제 대상자가 다르면 감면이 거부될 수 있으니 사전에 명의 이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✅ 결론: 놓치기 쉬운 복지혜택, 지금 확인하세요

전기요금 감면제도는 매달 수천 원에서 수만 원까지 가계 전기세를 절감할 수 있는 확실한 복지 정책입니다. 자신이나 가족이 대상자에 해당한다면 반드시 신청하시고, 주변에도 공유해 주세요. 지금 바로 한전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.

반응형